볼링을 이용한 프로젝트 학습
우리 교실에는 학생들을 위한 놀이기구가 있다.
이번년도 맡은 학생 중 다리가 아픈 아이가 있어 다른 친구들처럼 밖에서 놀지 못하다보니 실내 스포츠 활동으로 하나 구매했다. 이 스포츠 기구를 교실에 설치한 후 체육 시간이나 점심 시간을 이용해서 한번씩 하고는 있었는데 조금 더 교육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없을까? 하다가 스포츠 게임 방법을 스스로 찾고 분석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그냥 즐기는 것보다는 뭔가 알고 하면 훨씬 좋을테니 말이다!
|
||||
순
|
과목
|
내용
|
분석
|
|
1차시
|
체육
|
볼링 스포츠 게임하기
|
볼링이라는 스포츠를 접하기
점수 및 규칙에 대한 동기 유발
|
|
2~3차시
|
국어
|
볼링 규칙 찾은 후 설명서 만들기
|
볼링 규칙을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은 후 설명서 만들기
|
|
4차시
|
국어
|
볼링 설명서 공유하기
|
자신이 알아낸 볼링 규칙을 친구들과 공유하기
|
|
5차시
|
체육
|
볼링 스포츠 게임하기
|
규칙에 맞게 볼링 스포츠 게임하기
|
|
6차시
|
체육
|
기기를 통한 볼링 스포츠
|
닌텐도를 활용한 볼링 스포츠 게임하기
|
|
7차시
|
국어
|
편지쓰기
|
볼링게임을 하고난 후 느낌 및 방법을 친구에게 편지쓰기
|
|
|
대략적인 계획은 위와 같다. 한 차시에 끝나는 수업이 아니라 몇 차시를 묶어서 해야하다보니 이런 수업이 요즘 유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수업이겠지? 전문적인 수업 설계를 위해서는 성취기준도 찾고 이에 따른 수업 방법을 연구해야겠지만 나는 그정도로 열혈교사는 아니기에 대략적인 수업 설계만 잡을 것이다.

1차시 볼링 스포츠 맛보기
1차시는 볼링이라는 스포츠를 맛보는 시간이다.
그냥 무턱대고 규칙을 찾는 것보다는 한번 해보고나면 뭔가 문제점을 스스로 알 수 있지 않을까? 해서 먼저 맛보기 형식으로 볼링 게임을 시작했다.
실제 볼링장과 같은 규격은 아니다보니 아이들의 수준에 맞게 입으로 공을 불어서 볼링핀을 넘기는 방법으로 진행했다. (코로나 시국이었다면 절대 안될 일이겠지만 아주 소수의 학급이다보니 가능한듯하다.)
점수는 대략적으로 6게임으로 진행했고 스페어와 스트라이크는 가상의 점수를 주어 진행했다. 아무리 그냥 맛보기라해도 기본적인 룰은 지켜야 하니 말이다.


2~3차시 볼링 규칙 조사하고 설명서 만들기
그리고 다음날 국어시간을 이용해서 볼링게임 규칙 조사 및 설명서 만들기를 하였다.
3학년 국어교과이 중요한 내용 간추리기 단원을 배웠다면 조금이나마 가능할텐데 아이들 제작하는 것을 보니 역시 간추리기는 어려운 일인듯 하다.
인터넷 자료를 이용해서 볼링에 대한 규칙 및 자료를 스스로 찾고 이 후 알아야 하는 규칙 내용을 정리하여 설명서를 만드는 수업이다. 안타깝게도 위에서 말했듯이 자료를 찾는 것은 어느 정도 할 수 있으나 그 자료의 내용을 분석하고 간추리는 것은 5, 6학년이 되어도 쉬운 일이 아니다.( 보통 대부분의 학생은 인터넷 자료를 그대로 베껴쓰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래도 스스로 자료를 찾으면서 1차시에 했었던 게임 규칙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새로운 용어(스페어 처리 등)를 발굴하며 점수 획득 방법을 찾는 것을 보니 왠지 뿌듯해진다.
솔직히 나도 볼링을 쳐보기는 했지만 왜 저런 점수가 나오는지 지금까지 몰랐었는데 이번에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 하면서 알게 되었다.


3~4차시 설명서 공유 및 볼링 스포츠 게임
3차시로는 본인들이 만든 설명서 자료를 친구들에게 알려주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이렇게 까지 하는 이유는 보통 자료 수집하고 신문을 만들다 보면 거의 인터넷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게 되면 결국 본인이 무엇을 적었는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오류 및 실수를 줄이기 위해 나는 늘 조사학습 후 본인의 자료를 발표를 통해 공유하게 한다.
발표하다보면 본인이 쓴 내용인데도 무슨 말인지 모를때가 많고 내용 자체가 엉망인 경우를 스스로 느끼기 때문이다. 그래도 계속 하다보면 조금씩 나아지겠지 하는 마음으로 귀찮지만 꾸준히 이런 방법을 추구하고 있다. (소수 학급이라 충분히 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4차시는 새롭게 알게된 게임 규칙을 적용해서 볼링 게임을 진행했다.
볼링 방법 중 변경된 것은 입으로 불어서 넘어뜨리는 것에서 공을 굴려서 넘어뜨리는 방법으로 변경했다. 이유는 입으로 불어서는 핀이 잘 안넘어가다보니 게임의 스릴이 떨어져서 받침대를 이용하여 공을 굴리는 방법을 선택했다.
이 방법외의 다른 모든 규칙은 아이들이 찾은 내용을 종합해서 정했다. 자료조사 및 발표를 통해 아이들은 볼링 게임이 10프레임까지 진행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마지막 10프레임에서는 3번까지도 공을 굴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나도 그냥 원래 그렇구나 하고 생각했던 게임 방법이 규칙에 의해 진행되었다는 것을 오늘에서야 알게 되었다. 스페어 처리하고나면 다음 공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 프레임 첫 점수가 보너스 점수가 되고 스트라이크를 치면 다음 프레임 전체 점수가 보너스가 된다는 것을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다.
안타깝게 시골 지역에 살고 있는 아이들이다보니 볼링을 해볼 경험이 많지는 않겠지만 혹시나 게임을 하게 되면 규칙이 이렇다고 먼저 말할 수 있겠지?
'교실 EDU > 미술, 놀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 수업 포토스케이프 무료 사진 편집 프로그램으로 자화상 스케치 파일 만들기 (2) | 2024.11.22 |
---|---|
4학년 미술 2. 체험을 떠나요! 종이 사포를 활용한 체험학습 표현 (2) | 2024.10.20 |
미술 활동, 마스킹 테이프를 활용한 가을 느낌 자작 나무 숲 그리기 (1) | 2024.10.07 |
초등학교 학예회 연극 대본자료 공유 (0) | 2024.09.29 |
통합 미술 입체 수박 그리기 5학년 현대 미술을 찾아서, 6학년 색으로 가득한 세상(명도, 채도) (0) | 2024.06.22 |
생태 환경동아리 활동 다육 테라리움 만들기 키트 이용 후기 (1) | 2024.06.02 |
초등학생 진로 교육 MBTI 문항 검사지 및 유형 해석 파일 공유 (0) | 2024.05.29 |
초등 미술활동, 기름 종이를 이용한 팝아트 자화상 그리기 (0) | 2024.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