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EDU/보건교육 5

qwe12 젠더이해 양성평등 선도학교 양성평등 교육주간 운영 계획 공유(학부모 연수 및 체험 활동 등)

​ ​​​양성평등 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9월 양성평등 교육주간을 활용하여 학교에서도 다양한 체험 활동 및 연수를 진행하였다. ​​​각 학년 교실에서는 양성평등 계기교육을 실시하였고 양성평등 교육주간동안 가족 사진전, 그림 그리기 활동 등을 통하여 학생들 작품을 전시, 상품을 주었다. 그리고 학생 체험활동으로 양성평등 벽시계 만들기를 진행하였고 학부모, 교직원 연수활동으로 양성평등 계기 교육과 천연 샴푸 만들기를 진행하였다. ​​ ​​1. 목적양성평등에 관련된 교육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 또는 학교현장에서 경험하고 느끼는 양성평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꾸고 올바른 양성평등관을 형성하고자 함 2. 방침가. 양성평등 의식 함양을 위한 ‘양성평등교육 주간’운영나. 학생 중심의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학생들..

양성평등 교육 프로젝트학습 운영 계획 및 교육과정 재구성 그리고 참고자료 공유

​​양성평등 선도학교를 운영하면서 학기별로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였다. ​​​​​학년별로 주제는 달리하였으며 (다양한 가족의 형태와 문화 이해, 생활 속의 양성평등 UCC제작, 평등한 디자인으로 세상 바꾸기 등) 프로젝트 학습 내용에 맞게 교육과정 재구성 및 학습 자료를 선도학교 운영비에서 지출하였다. ​​​​교육과정은 통합교육 및 재구성 등으로 다양한 교과에서 양성평등교육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내용 및 형식은 아래 파일을 참고하면 좋을듯하다. ​​​ ​​젠더이해 양성평등교육 프로젝트 학습 운영 계획​​​1. 목적가.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교육과정 속 올바른 성역할의 이해한다.나.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꿈와 끼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다. 교사, 학생간의 협업과 공유를 통해 학생의 성장과 ..

양성평등 교육주간 교직원, 학부모 연수 교육 자료 및 학생 활동지 파일 공유

​​​양성평등 교직원 연수 자료 ​-양성평등한 학교문화 실현을 위한 교사의 의식과 태도- 교사는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을 전달하는 핵심적인 위치에 있습니다. 어떠한 교육목표나 교육내용도 교사의 해석을 거치고 나서야 학생들에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사는 교육의 전 과정에 있어서 중심이 되고, 더 나아가 그 자신이 하나의 살아있는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남녀 학생 모두 동등한 인격적 주체로서 성장하여 자신의 재능과 소질을 한껏 꽃피울 수 있는 토양으로서의 양성평등한 학교문화 실현을 위하여 함께 생각해보기로 하겠습니다. Ⅰ. 양성평등 교육의 개념- 양성 중 어느 특정성에 대하여 부정적인 감정이나 고정관념,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지 않는 것이다.- 생물학적 차이를 사회 문화적 차이로 직결시키지 않는..

양성평등 선도학교 교육 공개 수업 운영 계획 및 교수학습 과정안 자료 공유

양성평등 교육 선도학교를 운영하다 보니 1, 2학기 공개수업을 모두 양성평등 관련 주제로 진행하였다. 학년에 맞는 교과에서 양성평등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이를 재구성하여 공개수업을 진행하였던것 같다. ​​​양성평등 선도학교라고해서 무조건적인 양성평등 교육 내용이 아니라 일반 교과 내용을 어떻게 양성평등과 접목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 생각된다. 초등 교과에서 양성평등은 체육, 실과 외에는 찾기 힘들지만 이를 가정 및 학교 생활 그리고 나 자신 및 우리 역사까지 생각한다면 다양한 영역에서 양성평등 교육을 실현할 수 있게된다. ​​​틀에 박힌 생각보다는 유하고 포괄적으로 사업을 운영하면 훨씬 더 쉽고 창의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  ​양성평등 교육 적용 수업 나눔의 날 운영 계획..

초등학교 보건 교육 1, 4학년 학생 건강 검사 검진기관 선정 및 검진 방법

성장기 학생들의 올바른 생활습관 및 신체적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질병을 조기에 발견‧치료하여 건강한 삶 도모 그리고 나쁜 건강행태 또는 건강 문제, 질병이 발견된 학생에 대해서는 교육 및 건강상담, 치료 및 보호 등 적절한 대책 강구하기 위해 초·중·고등학교에서는 「학교보건법」 및 「학교건강검사규칙」에 따라 재학생에 대한 건강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초 1·4학년, 중‧고 1학년은 법적으로 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다 보니 이번에 건강검진 기관과 계약을 진행했다. 하지만 오랜만에 보건 업무를 하다 보니 옛 생각이 나기도 하면서 학교와 검진 기관 사이에 문제가 참 많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물론 개인적인 후기이니 일반화하기는 힘들다.)   검진기관 선정건강검진 기관은 「건강검진기본법」제14조(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