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펭톡 회원코드 발급 및 학생 등록은 EBS LCMS 관리자 페이지에서
EBS LCMS관리자 페이지
험난한 EBS LCMS 관리자 페이지의 보안 접속을 뚫고 로그인에 성공하였다.
EBS LCMS 관리자 페이지 보안 접속 로그인 방법은 앞선 포스팅 및 팁을 작성해놓았으니 확인해보면 될듯하다.

EBS LCMS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후 나타나는 메인 페이지를 보면 정말 별 것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것 때문에 보안을 힘들게 했나 싶을 정도로 별거 없다. (아니 우리학교에서 사용한 내역이 많이 없어 데이터 백업이 안되다보니 없을 수도 있다.)

EBS LCMS 회원관리
가장 먼저 EBS LCMS페이지에 학생 등록을 하기 위해 학생 정보 탭을 클릭하였다.
AI펭톡은 아이디와 비번을 학생 스스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교사가 발급해준 아이디와 비번을 이용해서 활용할 수 있기에 이 단계가 꼭 필요하다. 내가 있는 학교처럼 학생 수가 적은 학교에서는 한 명 한 명 만들어줄 수 있지만 규모가 큰 학교에서는 일괄 등록 및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단체 등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작년 분명 등록했던 아이들이 있었는데 왜 그 아이들의 아이디가 안보이는지 모르겠다. 1년이 지나면 자동 리셋이 되는건가?

학생등록
학생등록 신규 탭을 클릭하니 학생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창이 새롭게 뜬다.
필요한 정보는 학년 반 및 학생 닉네임, 선생님 닉네임이다. 작년엔 이 등록을 하기 위해서 아이들에게 스스로 닉네임을 만들어 보라고 했었는데 한번씩 복잡한 닉네임이 나와서 올해는 그냥 내가 학생 이름으로 다 만들어봐야겠다.

학생 신규 등록 탭을 이용해서 아이들을 등록하고나니 학생 코드가 생성되었다.
이 학생 코드를 이용해서 AI펭톡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코드를 잘 기억해놓아야 한다. EBS LCMS 페이지를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가 아마 학생들의 회원등록 및 관리이기 때문에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회원등록할시 반은 1~20반까지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혹 연수나 다른 상황에서 사용해야할 때를 위해 가상 회원코드도 충분히 만들 수 있을듯 하다.

관리자 등록은?
그렇다면 제일 처음 AI펭톡을 사용하는 학교의 관리자는 어떻게 등록해야할까?
이 부분에서는 EBS에 직접 연락 및 신청해서 관리자 등록을 받아야 한다. 작년에는 대표교사 신청을 받는 시기가 있어 직접 신청한 후 EBS허가를 받았었는데 지금은 상시 접수를 받는다고 하니 EBSE에서 신청하면 될듯하다.